Reporting

상담 종료 기준으로 통계를 확인합니다.

46-1. Reporting

[상담관리] > [Reporting] > [Reporting] 에서는 '상담 종료'된 상담을 기준으로 조회 기간 동안의 다양한 통계를 화면으로 제공합니다. 따로 조회 기간을 설정하지 않으면 '지난 7일'로 조회됩니다.

46-2. Monthly 서비스 시간 기준 확인하기
46-3. Reporting 조회 기간 설정하기
  • 조회 기간은 지난 1일부터 사용자 지정까지 원하는 기간을 선택하면, 해당 기준 데이터가 조회됩니다.

46-4. 채널 조회 설정하기
  • '채널'에서는, 카카오톡 채널, 네이버톡톡, 해피톡(웹채팅) 중 선택하여 조회할 수 있고, 카카오톡 채널과 네이버톡톡의 경우 채널에서 선택 후 특정 계정만 선택하여 조회할 수 있어요. 연동이 해지된 채널은 채널ID 앞에 [연동해지]가 붙습니다.

46-5. 상담 분류 설정하기
  • '분류'에서는, [서비스설정] > [기본 설정] > [상담 분류 관리]에 설정된 상담 분류(대분류/중분류) 기준으로 선택하여 조회할 수 있습니다. 대분류 내 중분류의 데이터만 조회하고자 하는 경우, 대분류 선택 후 중분류 값을 선택하면 됩니다.

46-6. 매니저/상담원 설정하기
  • '매니저/상담원'에서는, 관리자 및 매니저 선택 후 그룹별로 선택하여 조회할 수 있습니다. '로봇-SITEID'는 관리자 계정 하위에 포함됩니다.

46-7. 총 채팅 수/총 과금 수/평균 상담 시간
  1. '총 채팅 수'는 조회 기간 동안 종료된 상담 건수를 의미합니다. [Monthly] > 월 전체 상담 종료와 동일한 데이터이고, 당월의 경우에는 Monthly의 조회일(오늘)이 포함되어 값이 상이할 수 있는 점 주의하여 확인해 주세요.

  2. '총 과금 수'는 카카오 상담톡에만 해당하는 과금 건수입니다.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진행한 상담 중 100 원의 방 과금 비용이 적용된 건수를 의미해요.

  3. '평균 상담 시간'은 '총 채팅 수'에 포함된 상담방이 시작하면서 종료되기까지의 평균 시간으로, [Monthly] > 평균 상담종료 시간과 동일한 데이터입니다.

카카오 상담톡의 상세 과금 내역은, [서비스설정] > [계정&시스템 관리] > [서비스 관리] 하단의 월별 '채널 과금 내역'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.

46-8. 채널 채팅 수
  • '채널 채팅 수'는 조회 기간 동안 각 채널(계정)별로 상담이 종료된 건수를 의미합니다. 카카오톡 채널과 네이버톡톡은 채널 ID별로 구분하여 조회할 수 있는데요. 만약 동일한 채널이더라도 채널 ID가 변경된 경우(예: @해피톡 → @해피톡io)라면, 각각 별개의 채널로 조회됩니다.\

    • 해피톡은 보라색, 카카오톡 채널은 노란색, 네이버톡톡은 초록색으로 구분됩니다.

46-9. 대분류 채팅 수
  • '대분류 채팅 수'는 조회 기간 동안 상담 분류의 대분류별로 상담이 종료된 건수를 의미합니다.

46-10. 대분류명 변경 시 Reporting
  • [서비스설정] > [기본 설정] > [기본 조건 설정] > [상담 분류 관리]에서 대분류명 변경 시, 이전 Reporting의 분류명도 모두 수정됩니다. 따라서 다른 동일한 분류이나 명칭만 바꾸는 게 아니라면, 해당 대분류는 '미사용'으로 설정하고, 대분류를 추가하여 사용하기를 권장합니다.

46-11. 중분류 채팅 수 조회하기
  • 대분류 전체가 아닌, 특정 중분류 채팅 수는 대분류 선택 후, 다시 중분류를 선택해 주면 '대분류 채팅 수'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46-12. 상담원 채팅 수
  • '상담원 채팅 수'는 조회 기간 동안 각 상담사가 상담을 '종료'한 건수를 의미합니다.

46-13. 기간별 통계
  • '기간별 통계'에서는 조회 기간 동안 시간, 일, 월, 연 단위로 채팅 수, 과금 수, 평균 상담 시간을 그래프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. 각 그래프에 마우스 커서를 대면 상세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어요. - 일 단위는 한 달 이내로, 시간 단위는 1일 이내로 조회 기간 선택 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46-14. 요일별 상담분포
  • '요일별 상담분포'는 조회 기간 동안 요일별 채팅 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어느 요일에 상담을 가장 많이 진행하는 지 파악할 수 있어요. 😁

46-15. 상담시간 분포
  • '상담시간 분포'에서는 조회 기간 동안 진행한 상담방의 총 상담 시간을 단위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46-16. 시간대별 상담분포
  • '시간대별 상담분포'에서는 상담방이 '종료된 시간'을 기준으로 채팅 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.

46-17. 만족도 분포
  • '만족도 분포'는 [서비스설정] > [기본 설정] > [기본 조건 설정] > [상담 평가 받기]를 사용하는 경우, 조회 기간 동안 고객들이 평가한 별점 분포를 확인할 수 있어요.

46-18. 채널별 통계
  • '채널별 통계'는 각 연동 채널별로 채팅 수와 평균 상담 시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'해피톡'은 웹채팅, w로 시작하는 6자리 프로필키는 네이버톡톡, @검색용아이디는 카카오톡 채널을 의미해요. 🥰

46-19. 다시 상담한 고객 수
  • '다시 상담한 고객 수'는 조회 기간 동안 상담이 종료된 후, 다시 상담을 진행하고 종료한 고객이 어느 정도 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이때 동일 고객은 '고객식별번호'를 기준으로 구분합니다. 우리 회사에 궁금한 점이 많거나, 한 번에 문의가 모두 해소되지 않은 고객이 어느 정도 되는지 파악할 수 있어요. 😉

Last updated